위선은 한자로 '거짓 위(僞)'에 '착할 선(善)'을 쓴다. 즉 선한 것인 양 위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위선이란 결국 도덕적 결벽성 때문에 생긴 것이다. 미국 서부의 한 대형 교회에서 과거에 치명적인 도덕적
죄를 지은 적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했더니, 이들 중 대부분이 평소에 "나는 절대 그런 죄를
짓지 않을 것이다"라고 큰소리치던 도덕적 결벽주의자들이었다는 것이다.
"개혁을 한다. 부정부패를 척결한다. 새 역사를 만든다"고 하면서 정의의 칼을 높이 드는 사람들의 문제는
자기 자신이 가장 먼저 개혁되어야 할 대상임을 모르고 있는 것이다. 목사는 자신이 하는 설교를 자신이 가장
먼저 들어야 하는 부족한 존재임을 인정할 때 비로소 참된 목사의 자격을 갖게 된다. 남편이 잘못했다고
사과할 때 아내는 비로소 남편을 존경하고 위하게 된다. 부모가 말만큼 살지 못하는 자신의 부족한 모습 때문에
자녀들이 제대로 못 크고 있음을 인정할 때, 그 자녀는 비로소 부모의 마음으로 몰입해 들어온다.
인간은 한없이 약한 존재다. 그러나 문제는 자신이 약함을 쉽게 인정하려 하지 않는 우리의 어줍지 않은
자존심이다. 만일 하나님께서 우리가 한 대로 일일이 다 보응하시면 우린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하나님은 뻔히
아시면서도 모르는 척 우리 잘못을 덮어주시고, 속아 주시고, 끊임없이 사랑해 주셨다. 이제는 우리가 스스로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하나님께 나아가야 할 때다.
/ 칼과 칼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