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유익하고 새로운 것을 배웠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생각이나 행동 양식을 바꾸지 않는다.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변화를 위해 그 이상의 도움이 필요하다. 우리에게는 모범, 관계, 경험, 지지가 필요하다.
한마디로 멘토(mentor)가 필요하다. 기독교 신학에선 성령님이 핵반응과 같은 변화를 일으키시는 멘토다.
그리고 성령님이 가지신 도구 중에 하나는 그리스도의 몸 곧 교회다.
교회사를 통틀어 사람들은 멘토와 스승의 도움을 받았다.
니사의 그레고리(AD 213~270)는 자신의 스승 오리겐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그는 이론보다 행실로 우리를 더 많이 가르쳤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와 나눈 교제였다. 그것은 마치
나의 가장 내밀한 영혼에 불꽃을 던져 불을 붙이는 것과 같았다.”
경건한 멘토들은 사람들을 성장하도록 돕는다. 그들은 사람들에게서 다듬어지지 않은 가능성과 배우려는
자발성을 알아본다. 자신들의 은사, 시간, 가르침을 나눠 줌으로 하나님 나라를 위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그들을 빚어 나갈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지난 5년 동안 누가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상을 탔는지, 해마다 누가 노벨상을 탔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그러나 우리를 믿어 주고 우리 스스로 결코 될 수 없었던 모습을 갖추도록 준비시켜 준 사람들은 모두 기억한다.
- "영성 훈련 핸드북"에서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변화를 위해 그 이상의 도움이 필요하다. 우리에게는 모범, 관계, 경험, 지지가 필요하다.
한마디로 멘토(mentor)가 필요하다. 기독교 신학에선 성령님이 핵반응과 같은 변화를 일으키시는 멘토다.
그리고 성령님이 가지신 도구 중에 하나는 그리스도의 몸 곧 교회다.
교회사를 통틀어 사람들은 멘토와 스승의 도움을 받았다.
니사의 그레고리(AD 213~270)는 자신의 스승 오리겐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그는 이론보다 행실로 우리를 더 많이 가르쳤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와 나눈 교제였다. 그것은 마치
나의 가장 내밀한 영혼에 불꽃을 던져 불을 붙이는 것과 같았다.”
경건한 멘토들은 사람들을 성장하도록 돕는다. 그들은 사람들에게서 다듬어지지 않은 가능성과 배우려는
자발성을 알아본다. 자신들의 은사, 시간, 가르침을 나눠 줌으로 하나님 나라를 위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그들을 빚어 나갈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지난 5년 동안 누가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상을 탔는지, 해마다 누가 노벨상을 탔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그러나 우리를 믿어 주고 우리 스스로 결코 될 수 없었던 모습을 갖추도록 준비시켜 준 사람들은 모두 기억한다.
- "영성 훈련 핸드북"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