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곡가 베토벤은 32세에 비극적인 유서 한 장을 작성했습니다. 형제인 칼과 요한에게 그 유서를 전달할 생각이었습니다.
유서에는 삶에 대한 회한과 원망이 가득 담겨 있었습니다.
“나는 지난 6년 동안 미래에 대한 막연한 희망으로 지냈다. 이제 머잖아 생을 마감할 것이다.
오, 하나님이시여. 내게 기쁨의 날을 허락해주소서. ”
베토벤은 당시 실연과 청력감퇴로 깊은 시름에 잠겨 그런 유서를 작성한 것이었습니다. 그로부터 24년이 지난 후,
베토벤은 비엔나의 한 극장에 서 있었습니다. 그곳에서는 ‘합창교향곡’이 울려 퍼지고 있었습니다.
그때 그는 청력을 거의 상실했고 건강도 극도로 악화된 상태였습니다. 청중들의 우레 같은 박수소리도 들리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음속에서 큰 기쁨이 솟구쳐 올랐습니다. 외적인 환경은 24년 전보다 훨씬 비참했지만 그는 행복감에
젖어 있었습니다. 삶의 행복과 기쁨은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닙니다. 기쁨의 근원은 마음입니다.
마음의 중심에 주님이 자리하고 계시다면 처지나 환경에 상관없이 기쁩니다. 그 기쁨으로 오늘 하루의 삶을
주님께 드리십시오.
주님! 행복의 근원이 마음에 있음을 깨닫게 하소서.
나의 마음을 근심하게 하는 쓴 뿌리들을 정리합시다.
- 김장환 큐티365 / 나침반출판사
유서에는 삶에 대한 회한과 원망이 가득 담겨 있었습니다.
“나는 지난 6년 동안 미래에 대한 막연한 희망으로 지냈다. 이제 머잖아 생을 마감할 것이다.
오, 하나님이시여. 내게 기쁨의 날을 허락해주소서. ”
베토벤은 당시 실연과 청력감퇴로 깊은 시름에 잠겨 그런 유서를 작성한 것이었습니다. 그로부터 24년이 지난 후,
베토벤은 비엔나의 한 극장에 서 있었습니다. 그곳에서는 ‘합창교향곡’이 울려 퍼지고 있었습니다.
그때 그는 청력을 거의 상실했고 건강도 극도로 악화된 상태였습니다. 청중들의 우레 같은 박수소리도 들리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음속에서 큰 기쁨이 솟구쳐 올랐습니다. 외적인 환경은 24년 전보다 훨씬 비참했지만 그는 행복감에
젖어 있었습니다. 삶의 행복과 기쁨은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닙니다. 기쁨의 근원은 마음입니다.
마음의 중심에 주님이 자리하고 계시다면 처지나 환경에 상관없이 기쁩니다. 그 기쁨으로 오늘 하루의 삶을
주님께 드리십시오.
주님! 행복의 근원이 마음에 있음을 깨닫게 하소서.
나의 마음을 근심하게 하는 쓴 뿌리들을 정리합시다.
- 김장환 큐티365 / 나침반출판사